-
-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Media Contents and Copyright)
- 소셜 미디어의 특성 그리고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과의 관계 나아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새로운 저널리즘 현상들을 심도 있게 다룬다.
-
- 저널리즘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The Theory and Practice of Journalism Writing)
- 모바일과 온라인 등 플랫폼 다변화, 1인미디어와 유튜브 등 SNS의 다양화 등 언론 환경의 급변 속에서 저널리즘 본질의 이해와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과목이다. 이 수업의 학습 목표는 논리적이고 효율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데 있다. 동시에 콘텐츠의 논점 파악 능력과 메시지 전달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심 이슈들에 대해 사실과 관점, 해석의 관계를 파악해 자기 생각을 글쓰기로 표현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습득한다.
-
- 빅데이터와 저널리즘(Journalism in the Bigdata Era)
- 빅데이터에 대한 역사적, 기술적, 산업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최신 논의와 함께 이의 저널리즘에로의 실제 적용 유형과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전 가능성을 깊이 있게 논의한다.
-
- 데이터 저널리즘(Data Journalism)
- 21세기 저널리즘은 데이터를 만나 새로운 흐름을 만들고 있다. 이 과목은 데이터 기반 저널리즘 입문 과목으로, 데이터 수집, 분석, 시각화, 데이터 기반 스토리텔링 실습 등을 통해 데이터 기반 저널리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 데이터 저널리즘2(Data Journalism2)
-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스트는 중요한 기사를 수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 저널리즘 도구가 필요하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심화한 데이터 저널리즘의 원칙과 방법을 익히고, 이를 데이터 저널리즘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법을 배운다.
-
- 데이터 분석과 파이썬 활용 실무(Data Analysis and Python Programming for Journalists)
- 데이터 시대를 맞아 저널리즘 영역에서도 데이터 리터러시와 코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과목은 이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의 기본 이론과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전 지식이 없는 초심자도 해당 주제를 이해하고 실습으로 기법을 익힐 수 있다.
-
- 데이터 분석과 파이썬 활용 입문(Data Analysis and Python Programming for Beginner)
- 데이터 시대를 맞아 미디어 영역에서도 데이터 리터러시와 코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과목은 이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의 기본 이론과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전 지식이 없는 초심자도 해당 주제를 이해하고 실습으로 기법을 익힐 수 있다.
-
- 저널리즘 리더십 세미나(Leadership Seminar for Journalist)
- 디지털 미디어 환경 아래서 저널리즘이 어떻게 변화해 가고 있으며 추후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조망하고 그 합리적인 대응 방안을 분석과 토론을 통해 도출해 내는 과목으로서 저널리즘의 새로운 경향에 대한 소개와 함께 현장 경험을 토대로 한 자유로운 토론이 특징이다.
-
- 데이터와 탐사 보도(Data Driven Investigative Reporting)
- 최근의 해외 탐사보도는 데이터 기반 탐사보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과목은 데이터 기반 탐사보도에 초점을 맞춰 우수 보도 사례 연구와 탐사보도 아이템, 탐사보도에 필요한 데이터 관련 취재 기법들을 연구한다. 특히, 미디어 산업의 지형 변화와 모바일 환경에서 데이터 기반 탐사보도가 어떻게 진화하는지 최신 트렌드를 연구한다.
-
- 탐사 보도와 취재기법(Investigative Reporting and Technics)
- 탐사보도의 일반성과 특수성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례별로 취재 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취재 기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정보 공개법에 따른 정보 공개를 활용한 탐사보도기법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탐사보도기법에 대해서도 배운다.
-
- 포토 저널리즘(Photographic Journalism)
- 미디어로서의 사진은 기록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며, 첨단 디지털 기술에 의해 컴퓨터와 결합한 사진영상의 영향력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본 강의는 사진에 관한 기본 원칙과 이를 활용한 보도사진 촬영 기법 및 사진의 현상과 인화, 디지털화의 특성과 저널리즘적 이슈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
- 퍼블리싱 플랫폼의 이해와 활용(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Publishing Platforms)
- 오디오북, 웹소설, 웹툰, 셀프 출판 등 퍼블리싱 플랫폼의 이론적 이해부터 실제 활용까지 학습하고, 각 플랫폼에 활용된 정보통신기술(ICT)을 알아본다. 함께 다양한 퍼블리싱 플랫폼을 이용한 1인 콘텐츠를 기획 및 구성해 본다.
-
- 디지털 콘텐츠 퍼블리싱(Digital Contents Publishing)
- 기존의 출판에서 새로운 유통, 생산, 공유로 확대된 디지털 콘텐츠 퍼블리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출판의 현재와 미래를 알아본다. 함께 1인 출판 및 독립 출판의 개념을 빌려 디지털 퍼블리싱 콘텐츠의 편집과 제작을 진행하고, 디지털 콘텐츠 퍼블리싱에서 실제 출판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학습한다.
-
- 소셜 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마케팅(Planning and Marketing of Social Media Contents)
- 오프라인 중심의 전통적인 콘텐츠 생산과 전달 방식은 구문이 된 지 오래다. 소셜 미디어는 이용자 간 관계망을 통해 이용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정보와 지식과 유희를 공유하는 서비스이다. 본 과목에서는 오프라인 시대 출판·잡지 콘텐츠와는 다른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근본 생태계의 특성과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 기획과 마케팅 사례를 통해 대안을 모색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