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송 미디어와 테크놀러지(Broadcast Media & Technology)
- 방송미디어 산업은 최신 테크놀러지의 유입으로 업무 과정과 결과물에서 전달 효과까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방송미디어인들이 업무 현장에서 알아야 하는 최신 테크놀러지 전반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서 활용하는 방안까지 고찰할 수 있는 입문 강좌이다.
-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방송 미디어(Digital Transformation(DX) & Broadcast Media)
- 방송미디어 산업 변화의 주요 변인과 사례 현상에 대한 최신 지식을 전달하고, 이로 인한 생산자, 소비자의 역할 변화, 미래 방향에 대해 고찰하는 전략 강좌이다.
-
- 방송영상 프로그램 기획 및 연출론(Broadcasting Program Producing)
- TV 프로그램 제작 기법을 장르별 실무 중심으로 소개함으로써, 방송과 방송 제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깊이 있는 안목을 갖게 한다.
-
- 연출 미학(Directing Aesthetics)
- 미학의 기초 지식과 이론을 연구하고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하마르티아, 페르소나, 페르페테이아 등의 미학적 개념을 현대의 연극, 영화 등에 접목하여 분석함으로써 공연예술의 창작 원리와 연출 미학적 기법을 습득한다.
-
- 영상연출과 실제(The Directing Skills for Making a Film & TV Program)
- 영상 연출의 주요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최근 영상 콘텐츠의 경향을 파악하여 경쟁력 있는 영상 콘텐츠 기획력을 배양하고자 함. 수강자들은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를 비교·분석하고, 콘텐츠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토론하며, 본인의 영상 콘텐츠를 기획하게 된다.
-
- 모바일 미디어론(Mobile Media)
- 스마트폰 없는 일상생활을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모바일 미디어의 중요성이 커진 현 상황에서 모바일 미디어 생태계를 이해하고, 모바일 시대에 맞춰 개별 미디어가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모바일 시대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서 우리는 각각의 위치에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지 고민해 보는 교과목이다.
-
- 스포츠와 미디어(Sports and Media)
- 스포츠 콘텐츠에 대한 높은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미디어를 통해 스포츠 콘텐츠가 기획되고 생산되며 소비되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
- 방송영상산업론(Broadcasting and Visual Industry)
- 방송 산업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을 학습하여 현대 방송 산업의 특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 융합 미디어 서비스 분석 세미나(The Seminar for Analyzing Convergence Service)
- 융합의 시대, 사회 전반의 변화가 급격하다. 미디어 지형도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삼아, 본 강의를 통해 그 변화의 맥락을 이해해 본다. 혁신적 융합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 사례 분석과 시장 전망을 바탕으로 토론을 곁들을 예정인 바, 참여적 수업을 목표로 한다.
-
- 콘텐츠 벤치마킹과 사례 연구(Contents Benchmarking and Case Study)
-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사례를 발굴하고 이들 콘텐츠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한다. 벤치마킹 기법을 학습해서 보다 체계적인 사례 분석을 체험하는 교과목이다.
-
-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Content Creation Using Generative AI)
- 쉽게 이해할 수 있는 AI 기본 강의로 생성형 AI의 개념, 역사, 작동 방식 등을 배우고 미디어 가치사슬 전체에 미치는 생성형 AI의 영향을 살펴본다. 이 강의는 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 기획, 원고 작성, 디지털 편집, 그래픽 디자인, 음악 작곡, 음성 생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애플리케이션의 사례를 소개하고 AI가 통합된 도구의 최신 사례들을 통해 AI가 어떻게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창의적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론과 함께 간단하게 실기를 진행한다.
-
- 디지털 콘텐츠 창작(Digital Media Content Creation)
-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콘텐츠 창작 능력을 실습 중심으로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영상 촬영 기초, 편집 이론 및 디지털 영상 편집기 사용법을 실습하며, 영상미학과 스토리텔링의 기본 구조를 학습한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아이디어 구상, 스크립트 작성, 제목/태그 자동화 기법 등도 함께 익히며, 1인 미디어 채널 운영에 필요한 이론과 실기 역량을 종합적으로 배양한다. 학기 말에는 개별 유튜브 채널에 본인의 콘텐츠를 기획·제작·게시하는 실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 설득 커뮤니케이션(Persuasive Communication)
- 광고·PR 현상의 이해에 필요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적용하여 소비자를 설득하기 위한 전략적 사고와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 스피치와 표현(Speech and Communication Skill)
- 말을 잘해야 인간관계를 잘 맺을 수 있고 사회적 성공도 거둘 수 있다. 그러나 공적인 자리에서 말하기에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 이 강의는 어떤 상황에서든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수사학의 기본 이론을 배우고, 실습으로 소통 능력을 키우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
- 스피치와 프리젠테이션(Speech and Presentation)
- 논리적이며 감성적인 의사소통 능력은 효용가치가 높다. 스피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고대로부터 비롯되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지금도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스피치에 대한 이해와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이 과정은 동서양의 수사학을 비교하고 소통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탐구한다. 아울러 발표수업과 과제를 통해 스피치와 프리젠테이션을 이론뿐 아니라 체화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
- 스피치 이론과 실제(Speech Theory and Practice)
- 프레젠테이션, 발표, 연설, 방송, 유튜브 등 다중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종류의 스피치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 상황에서 잘할 수 있는 스피치 이론을 학습한다.
-
- 스피치 커뮤니케이션(Speech Communication)
- 스피치의 본질, 사전 분석 사항, 스피치 준비 절차, 스피치 실행 방식, 스피치 각론 등 스피치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특히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을 토대로 스피치의 원리와 실전 기법을 소개하여 이론과 실무를 조화시켜 체계화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스피치 특강(Special Lectures on Speech)
- 스피킹의 기본 양식과 윤리와 바른 듣기, 이와 관련된 비판적 사고를 소개한다. 설득력 있는 프리젠테이션 실습 사례 소개 및 강의를 통해 즉석 토론 스피킹 기술(Extemporaneous speaking techniques)을 이해한다.
-
- 퍼블릭 스피킹(Public Speaking)
- 현대사회에서 날로 강조되는 퍼블릭 스피킹의 다양한 형태와 구성요소 등을 소개하고 그 능력을 배양하는 방법과 실습을 병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