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미디어와 광고(Digital Media & Advertising)
 -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과 그에 따른 광고환경 변화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그 주요 이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 및 효율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론(Brand Communication)
 - 강력한 브랜드 구축을 위한 캠페인 접근 방법들을 모색해 본다. 특히, 최근 시장 환경 특성을 고려한 Special Issue 중심의 캠페인 접근방법들을 다양한 이론과 사례를 통해 논의해 본다.
 
 -  
   
- 광고와 매체 전략(Advertisement and Media Planning)
 - 광고와 관련된 주요 매체들의 종류/성격 등에 대한 분석, 크리에이티브/수용자 성격/효율적 예산집행 등을 기준으로 광고 매체들을 평가하고, 수용자에게 효율적으로 광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매체기획 수립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  
   
- 광고 홍보 기획과 프리젠테이션(Advertising & PR Planning and Presentation)
 - 마케팅에서 광고 홍보 기획과 프레젠테이션 과정은 중요한 분야다. 기획과 프리젠테이션의 과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토론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실무적 지식을 넓히도록 한다.
 
 -  
   
- 기업 경영과 PR(Corporate Management & Public Relations)
 - 기업이라는 조직에서 조직과 전략 공중 간의 관계의 질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업이 혁신과 위기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를 살펴본다. 임직원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과 최근 국내외 기업에 적용한 사례를 봄으로써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PR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  
   
- 광고 비평과 분석(Criticism and Analysis of Advertisement)
 - 광고를 읽고 쓰기 위한 전 단계로서 광고의 의미, 표현원칙 등 광고 메시지에 대한 비평과 분석에 동원되는 이론과 방법들을 소개하고 실제 분석 사례를 제시하고 토론한다.
 
 -  
   
- PR의 이해(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
 - 기업홍보 전략의 토대가 되는 언론 및 미디어 환경과 홍보의 제반 사항을 본질적으로 분석하고, 기업 현장의 생생한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  
   
- 온라인 PR(Online PR)
 - 디지털 미디어에 관련된 이론들을 기초로 이를 활용한 PR 활동에 대하여 논의하고 실습함으로써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위기 관리와 홍보(Crisis Management PR)
 - 기업 및 조직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다양한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법을 소개하고 논의한다. 위기를 지각하고 위기에 대응하는 방법, 위기 극복의 다양한 시나리오 기법, 위급한 경영 상태에서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을 학습한다.
 
 -  
   
- 홍보 실무 전략(The Practice and Strategy of the Public Relations)
 - 홍보 실무의 실제 상황을 사례연구 중심으로 진행한다. 주로 정부 기관이나 기업의 홍보활동을 사례연구로 접근 분석하고, 커뮤니케이션 과정/홍보정책수립/결정 과정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홍보부서 및 프로그램의 효율적 관리 방안을 모색한다.
 
 -  
   
- PR 전략과 캠페인(PR Strategy and Campaign)
 - 각 기업, 단체, 공공기관의 PR 전략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서 파악해 보고 그 전략이 녹아든 실행 사례인 캠페인을 연구한다.
 
 -  
   
- 헬스 커뮤니케이션(Health Communication)
 - 헬스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사회심리학 및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며, 개인의 건강 신념, 태도, 행동 등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설득 기법들을 다룬다. 이를 통해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실제 건강 및 질병 관련 이슈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  
   
- 공연 예술의 이해(Understanding Performing Arts)
 - 공연예술의 정의와 분류, 역사와 발전 과정, 특성과 본질 등 공연예술 전반에 대해 학습하고 연극, 무용, 오페라, 뮤지컬 등 각 공연 장르에 따른 기본 지식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공연예술 현장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극장의 기본 구조와 공연시설도 포괄적으로 다룬다.
 
 -  
   
- 공연기획론(Performing Art Producing Study)
 - 뮤지컬, 콘서트, 페스티벌, 연극, 무용, 클래식 등 공연예술의 콘셉트 설정부터 프로그래밍, 프로듀싱, 티켓 매니지먼트, 공연기획서, 협찬제안서, 투자 제안서, 수익분석 등 각 기획 단계에 따른 핵심 요소를 이해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공연 기획의 실무를 습득한다.
 
 -  
   
- 공연 기획 워크샵(Workshop for Performing Arts Planning)
 - 뮤지컬, 콘서트, 축제, 이벤트, 전시, 클래식, 문화예술교육 등 공연예술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아이디어 기획에서부터 시장조사, 환경분석, 프로그램 기획, 사업성 분석, 예산 수립, 피칭, 평가까지 직접 수행함으로써 공연기획 실무와 현장 기획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실제 공연이 가능한 프로젝트는 발표회를 통해 공연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 공연 비지니스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Performing Arts Business)
 - 공연산업 전반에 대한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공연 비즈니스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산업적 성장의 밑거름이 되는 창작 콘텐츠의 제작 방법론에 대해서도 심층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  
   
- 공연 세미나(Seminar on Performing Arts)
 - 공연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예술의 현장을 직접 체험한 후 창작자 및 기획 경영자의 관점에서 이슈가 될 수 있는 사안들을 연구 문제로 도출하고 연구발표 및 토론 등을 통해 심도 있게 파악, 분석하여 현실적인 대안과 결론을 제시한다.
 
 -  
   
- 공연 예술 경영(Performing Arts Management)
 - 예술경영의 생성과 발달, 예술경영전략, 예술마케팅, 공연예술조직운영, 공연예술의 문화산업적 가치와 특징을 파악하고 공연예술경영의 주요 이슈들을 여러모로 분석하고 탐구한다.
 
 -  
   
- 공연 프로듀싱의 이해(Understanding Performance Producing)
 - 공연에서 프로듀서가 담당하는 기본 업무를 소개하고 공연 현장에로의 적용 즉, 프로듀싱을 직접 시도한다. 나아가 최근의 트렌드인 타 분야의 혁신적인 융합 사례 및 향후 가능한 융합의 경우들을 소개함으로써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와 최신 지식을 제공한다.
 
 -  
   
- 대중 음악과 미디어 사회(Popular Music and Media Society)
 - 대중음악과 관련 미디어 이론과 역사를 통해 전문적 지식을 제고하고, 대중음악의 실제 사례를 직간접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  
   
- 축제와 콘텐츠(Festival and Contents)
 - 축제의 기원, 발달 과정, 의미와 기능, 구성요소와 특징을 학습하고 축제와 콘텐츠의 상관관계를 사학, 문화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문화예술학, 미디어론, 산업론 등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고찰한다.
 
 -  
   
- 한류 비지니스(Korean Wave Business)
 - 한류의 생성과 발전 과정, 킬러콘텐츠의 구성요소와 성공사례, 한류 이슈 사례분석을 통해 급속도로 변화하는 한류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한류 비즈니스의 산업적 특수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지 한류시장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한다.
 
 
